kotlin 33

[TIL] Kotlin - 자료형 사용

※ 접미사 접두사 사용 val exp01 = 123 // Int형 추론 val exp02 = 123L // 접미사 L을 사용해 Long형 추론 val exp03 = 0x0F // 접두사 0x를 사용 16진 표기가 사용된 Int형 추론 val exp04 = 0b00001011 // 접두사 0b를 사용해 2진 표기가 사용된 Int형으로 추론 ※ 작은 값의 사용 val exp08; Byte = 127 // 명시적으로 자료형을 지정(Byte) val exp09 = 32767 // 명시적으로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Short형 범위 값도 Int형으로 추론 val exp10: Short = 32767 // 명시적 자료형 지정(Short) ※ 큰 수를 읽기 쉽게 하는 법 - 읽기 쉽게 하는 방법으로 언더스코어(..

[TIL] Kotlin - 정수형과 실수형

※ 정수형과 실수형 - 정수 자료형은 양수, 음수, 0을 나타내는데 코틀린의 정수 자료형은 부호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구분이 된다. 숫자 크기와 상관없이 기본적으로 모두 Int 형으로 추론이 된다. - 실수 자료형은 실수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한다. 정수와 마찬가지로 실수도 정수형을 명시하지 않을 경우 Double형으로 추론이 되고 Float 형으로 지정하고 싶은 경우엔 식별자 F를 실수 옆에 붙이는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실수의 개수는 사실상 모든 수를 의미하기 때문에 무한하다. 하지만 메모리의 공간은 유한하기 때문에 모든 실수를 표기하기는 매우 어렵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실수를 표현할 때는 부동 소수점(floating-point)방식을 사용하는데 이 방식은 실수를 가수, 지수로 나누어 표기..

[TIL] Kotlin - 불변형, 기본형

※ 변수 선언하는법 - 코틀린은 변수를 선언하려면 val, var를 사용해야 한다. 변수의 값이 변경되지 않는다면 val 변수의 값을 변경해야 하는 경우는 var를 이용해 변수를 선언하면 된다. 코틀린에서 변수명을 정할때 주의하여야 할 점으로는 123abc와 같이 숫자로 시작하면 안된다 변수 이름에는 while, if 와 같이 코틀린에 존재하는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 누가 보더라도 알아보기 쉽도록 해당 변수에 알맞는(의미있는) 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러 단어를 사용해 변수 이름을 지을 경우 카멜 표기법(Camel Expression)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코틀린의 자료형은 참조형 자료형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기본형(Primitive Data Type)은 표시된대로 가공되지 않은 순수한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