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43

[TIL] 파이썬으로 익히는 STEAM 코딩 (21.11.24)

※ 포물선 운동 궤적 그리기 - 물체의 초기 속도를 v라고 하고 각도를 # 이라고 할때 x축 방향 ux = v * cox# y축 방향 uy = v * sin# 로 계산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속도는 변하며 x 축은 속도가 변하지 않은 상태로 동일한 속도가 유지되고 y축 방향은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y 축 속도가 vy = v * sin# - g * t가 된다. 이러한 속도 변화의 특성을 이용해 터틀 스크린에서 포물선 운동 궤적을 그려본다. import turtle as t import math tm = 0.3# 시간 간격 ux = 0# x 속도 uy = 0# y 속도 dx = 0# x 이동 거리 dy = 0# y 이동 거리 g = 9.8# 중력 가속도 velo = 0# 속도 ang = 0# 각도 de..

[TIL] 파이썬으로 익히는 STEAM 코딩 (21.11.23)

※ 자유 낙하 운동 궤적 그리기 - 터틀 스크린을 이용해 자유 낙하 운동의 궤적을 그리는 프로그램을 코딩 import turtle as t# 터틀 그래픽 모듈인 turtle 을 t로 불러들임 def draw_pos(x, y):# 터틀의 궤적을 표시하는 함수 t.clear() t.setpos(x, y) t.stamp() hl = -(t.window_height() / 2) tm = 0 while True: d = (9.8 * tm**2) / 2# 이동거리 계산 - 중력 가속도 9.8m/s ny = y - int(d) if ny > hl:# ny의 값이 화면 하달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 계속 반복 t.goto(x, ny) t.stamp() tm = tm + 0.3 else: break t.setup(500,..

[TIL] 파이썬으로 익히는 STEAM 코딩(21.11.22)

※ DNA 염기서열의 순서 바꾸기 - DNA 염기서열은 A(아데닌), T(티민), G(구아닌), C(시토신)으로 이루어지며, 배치 순서에 따라 생명의 종과 생물학적 특성, 종간의 연관성이 결정이 되는 중요한 요소임 염기 서열 분석 방식 - 염기 A는 T로 T는 A로 G는 C로 C는 G로 바꾸는 상보적(complementary) 방식 - 염기서열의 순서를 역순으로 바꾸는 역순(reverse) 방식 - 상보적 염기서열을 다시 역순으로 바꾸는 상보적 역순(reverse-complementary) 방식 def comp(seq): comp_dict = {'A': 'T', 'T': 'A', 'C': 'G', 'G': 'C'} seq_comp = ""# 변환된 문자열을 누적시켜 저장하기 위한 빈 문자열 생성 fo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