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 연산자
- 기본 연산자의 종류로는 산술, 대입, 증가, 감소, 비교, 논리 연산자 등이 있다.
대입 연산자
- = : 우측 항의 내용을 좌측 항에 대입
- += : 두 항을 더한후 좌측 항에 대입
- -= : 좌측항 - 우측항 을 좌측 항에 대입
- *= : 두 항을 곱한 후 좌측 항에 대입
- /= : 좌측항/우측항 을 좌측 항에 대입
- %= : 좌측항/우측항을 연산한 뒤 남는 나머지를 좌측항에 대입
증가 연산자와 감소 연산자
++ : 항의 값에 1 증가 [예시: ++num 혹은 num++]
-- : 항의 값에 1 감소 [예시: --num 혹은 num--]
fun main(){
var a: Int = 10
var b: Int = 10
var result1 = ++a
var result2 = b++
println("result1: $result1, result2: $result2")
# 출력값
# result1: 11, result2: 10
증/감 연산자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위와같은 예시를 준비했다.
이 연산자는 앞에서 증/감을 시켜주는 경우. 즉, var result1 = ++a 와 같은 경우는 1을 증가된 a 값이 할당되기 때문에 출력할때 11이 출력이 된다. 하지만, 변수의 뒷부분 var result2 = b++ 과 같은 경우는 b를 먼저 할당한 뒤에 b값을 1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result2의 값은 변함없이 10이지만 b 값은 11로 증가되었다.
감소 연산자도 마찬가지로 연산자의 위치에 따라 출력되는 값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여야 한다.
비교 연산자
- > : 좌측이 큰 경우 True
- < : 우측이 큰 경우 True
- >= : 좌측이 크거나 같으면 True
- <= : 우측이 크거나 같으면 True
- == : 두 항의 값이 동일하면 True
- != : 두 항의 값이 다르면 True
- === : 두 항의 참조가 같으면 True
- !=== : 두 항의 참조가 다르면 True
논리 연산자
- && : 논리곱으로 두 항이 모두 true일때만 true. 이 외의 경우 모두 false
- || : 논리합으로 하나 이상이 true일 때 true, 이외는 false
- !: 부정 단항 연산자로 true면 false, false면 true 로 바꿈
'기타 > What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Kotlin - 함수선언/호출(1) (0) | 2022.01.20 |
---|---|
[TIL] Kotlin - 비트연산자 (0) | 2022.01.18 |
[TIL] Kotlin - 자료형 변환 (0) | 2022.01.14 |
[TIL] Kotlin - Null (0) | 2022.01.13 |
[TIL] Kotlin - 크기 범위와 기타 자료형 (0) | 2022.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