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의 보수
- 음수는 2의 보수 표현을 사용해 연산이 된다. 절댓값의 이진수에 값을 뒤집고 1을 더하면 음수가 된다.
<6의 2진값: 0000 0110(2), 값 뒤집기: 1111 1001(2), 1을 더하기: 1111 1010(2)>
○ 논리 자료형
- Boolean(1비트) : 값의 범위는 true 혹은 false만 존재
○ 문자 자료형
- Char(2바이트/16비트) : 값의 범위는 0~(2^15)-1(\u0000 ~ \uffff)
문자 자료형(Char)은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며 문자 자료형의 값은 작은따옴표로 감싸 표현한다.
또한, 컴퓨터는 문자 자료형의 값을 저장할 때 문자 세트(아스키 코드, 유니코드)를 참고해 번호로 저장을 하는데
예시를 들자면 문자 a를 저장하려고 했을때 a를 저장하는것이 아닌 65로 저장이 된다. 하지만, 코트린에서 문자 자료형을 선언할때는 문자값으로 선언해야 한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해 선언한 다음 문자 자료형에 숫자를 더하는 방식으로 다른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문자열은 String으로 선언이 되며 String Pool 이라는 공간에 구성이 된다.
변수의 값이나 표현식을 문자열 안에 넣어 출력하려면 달러 기호($)를 같이 사용해 변수나 표현식을 사용하면 된다.
'기타 > What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Kotlin - 자료형 변환 (0) | 2022.01.14 |
---|---|
[TIL] Kotlin - Null (0) | 2022.01.13 |
[TIL] Kotlin - 자료형 사용 (0) | 2022.01.11 |
[TIL] Kotlin - 정수형과 실수형 (0) | 2022.01.10 |
[TIL] Kotlin - 불변형, 기본형 (0) | 2022.01.09 |